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알고리즘

[백준] 11720 - 숫자의 합 - JAVA[자바]

 

 

2가지 방법이 있다.

 

1. Scanner 로 입력받아 charAt() 을 사용하여 푸는 방법

2. BufferedReader 로 입력받아 getBytes() 을 이용하여 푸는 방법

 

 

 

방법 1.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N = in.nextInt();
        String a = in.next();
        in.close();
        
        int sum = 0;
        
        for(int i =0; i < N; i++){
            sum += a.charAt(i) - '0';
        }
        System.out.print(sum);
    }
}

Scanner를 이용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

 첫 줄 입력인 N -> 숫자의 갯수

다음줄 : String(문자열)로 입력을 받는다.

 

for 문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의 첫번째 원소(charAt(0)) 부터 마지막 원소(charAt(N)) 까지 각 원소의 누적 합을 구하면 된다.

이때 charAt()은 해당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하므로 반드시 -48 혹은 -'0'을 해주어야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입력받은 숫자 값 그대로를 사용할 수 있다.

 

 

 

 

2.

우리는 문자열을 입력받을 때 해당 문자열을 쉽게 각 자릿값을 반환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getBytes() 이다.

 

이 방법은 배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r.readLine(); // N은 쓸모가 없어도 입력을 받아서 빼줘야 다음 라인을 받을 수 있다.
        
        int sum = 0;
        
        for (byte value : br.readLine().getBytes()) {
        	sum += (value - '0'); // 또는 (a-48) (아스키 코드니까)
        }
        
        System.out.print(sum);
        
    }
}

getBytes() 는 문자열을  byte 배열로 반환한다.

 

즉, readLine() 으로 읽어들인 문자를 byte[] 로 변환하여 반환되므로 for-each 구문을 통해 문자열의 문자를 하나하나씩 읽어들일 수 있다.

 

이때 UTF-16 인코딩에 맞게 각 문자의 값을 저장하므로 반드시 '0' 또는 48 을 빼주어야 한다.

 

 

 

 

위의 것이 BufferedReader를 사용

아래 것이 Scanner를 사용.

 

확연히 성능이 BufferedReader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