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SpringBoo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팩토리 메서드 of를 사용하는 이유(계속 업데이트) 위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Dto로 바꿔주는 메서드를 다른 클래스에 넣을 필요도 없고, Request 객체를 만들었을 때 재활용하여 파라미터를 외부에서 하나만 받고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일반적으로 이런 형태의 메소드는 생성자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며, 메소드 이름 자체가 객체 생성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표현하도록 지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메소드를 사용함으로써 객체 생성 시 가독성이 향상되고, 객체 생성 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유효성 검사나 변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모의 쇼핑몰 만들어보기 #1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스펙은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 서버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뷰에 보여주기 위해 템플릿 엔진 Thymeleaf를 추가했고, - Spring Data JPA는 JPA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추가했고, -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DB로 MySQL을 사용하려 했고, - H2는 자바기반의 RDMBS로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기능을 지원해 비록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데 권장되진 않지만, 매우 가볍고 빠른 데이터베이스다. 그래서 테스트용 DB로 많이 사용된다. 왜 MySQL을 썼는가? 더보기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쇼핑몰을 구현하는데 MySQL이 손색없기 때문이다." 라는 이유가 가장 적합하겠다. MySQL의 장점으로는 1. 많은 사용자가 한번에 DB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 2. 다른 프로그래밍 언.. [SpringBoot]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Ref https://nyyang.tistory.com/123 https://devlog-wjdrbs96.tistory.com/209 start.spring.io 를 이용해 생성함 GENERATE 한 뒤에 build.gradle을 불러왔다. 2. Lombok 사용을 위한 설정 **Lombok이란 무엇인가? -> 보통 DTO나 Model, Entity의 경우 여러 속성(Attribute)이 존재하고, 이들이 가지는 property에 대해 Getter, Setter, 생성자들을 매번 작성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부분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Library라고 할 수 있다. Lombok이 없다면 Getter, Setter, 생성자 등을 매번 직접 작성해주어야하고, 변수의 이름이 바뀐다고 하면 직접 바꾸어주어야하는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