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컴퓨터의 레포지토리 : Local Repository
깃허브의 레포지토리: Remote Repository
Local Repository를 Github에 그대로 올리는 법
이 중
이 부분은 로컬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커밋을 한 후에 깃허브에 업로드 하는 것이고,
이 부분이 이미 만든 로컬 레포지토리를 깃허브에 업로드하는 것이다.
3줄을 치면 아이디와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비밀번호로는 2021년 8월 13일부터 개인 토큰을 발급받아 사용해야한다.
1. 프로필 사진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2.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버튼 클릭 > Select Scopes 에서 repo 체크
3. Generate token 클릭하여 token 발급.
복사하여, 붙여넣어주면 된다.
커밋을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 Repository에서 바뀐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도 반영하는 법
README.md를 작성하여 저장해주고,
git add 와 git commit을 해주자
로컬 레포지토리에서 새로운 커밋을 했는데 어떻게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적용할 수 있을까?
-> git push 라는 명령어가 필요하다
그리고 Github 페이지에 가서 새로고침해보면
변경사항이 잘 반영되어있다!
반대로, Remote Repository에서 바뀐 내용을 Local Repository에 반영하려면?
github 홈페이지에서 README.md 파일을 직접 수정하고
git pull이라는 command를 사용하자
아무나 git push라고만 쓰면 자신이 작업한 내용을 내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반영할 수 있는 걸까?
그건 아니다.
이게 만약 가능하다면 저도 모르는 사이에 제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내용이 맘대로 바뀌어 버릴 수도 있다
사실 git push는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주인, 그러니까 본인만 할 수 있다.
만약 본인이 아닌 다른 사용자도 git push를 할 수 있게 하려면 GitHub에서 추가 작업을 해줘야 한다.
GitHub 페이지에서
1. 나의 리모트 레포지토리인 book의 Settings를 누른다,
2. 왼쪽의 Collaborators > Manage access > add people 클릭
여기서 해당 사용자를 검색해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다른 프로젝트 가져오기
Github 메인페이지에 Explore 버튼을 활용하면 Github 홈페이지에서 내가 관심을 가질만한 프로젝트들을 추천해준다.
나는 위의 프로젝트를 가져와보겠다.
초록색 code 버튼을 누르면
https://github.com/OnNaNOn/OMG.git
을 복사해둔다.
터미널로 이동해 꼭! 레포지토리를 변경해준다.
cd .. 으로 부모 레포지토리로 이동후에
git clone 하면
내 로컬 레포지토리에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가져올 수 있다.
'Programming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다루기 (생성, merge, conflict, remote repository) (0) | 2023.01.11 |
---|---|
Git commit 다루기(히스토리, 수정, 생성, reset) (0) | 2023.01.11 |
Git이 보는 파일의 4가지 상태 (0) | 2023.01.11 |
git add 활용하기 (0) | 2023.01.11 |
Git 명령어 정리 (0)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