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Git

(14)
Git 명령어 정리 1. 설정과 초기화 전역 사용자명/이메일 구성하기 git config -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 -global user.email “Your email address” 저장소별 사용자명/이메일 구성하기 (해당 저장소 디렉터리로 이동후) git config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user.email “Your email address” 참고로 user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Github에 있는 repository에 변경사항을 푸시 한다고 해도 commit count 집계도 되지 않고 해당 커밋의 작성자 프로필 아이콘도 ? 로 표시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name과 email 주소를 설정하길 추천한다. 전역 설정 정보 조..
Git의 3가지 작업 영역 내용을 수정한 파일 중에서 커밋에 반영하고 싶은 파일은 git add를 해야한다. Git은 내부적으로 크게 3가지 종류의 작업 영역을 두고 동작한다. 각 작업 영역의 이름은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입니다. 순서대로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첫 번째 작업 영역인 working directory는 개발자가 작업을 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 두 번째 작업 영역인 staging area는 git add를 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 커밋을 하게되면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만 커밋에 반영된다. 세 번째 작업 영역인 repository는 working directory의 변경 이력들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 즉, 커밋들이 저장되는 영역 조금 풀어서 설명해보자..
Commit 생성, commit message 작성 가이드라인 커밋(commit)은 Git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 커밋은 staging area의 현 상태를 그대로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작업, 또는 그 결과물을 가리키는 말 커밋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 정보가 있다. (1) 커밋을 한 사용자 아이디 (2) 커밋한 날짜, 시간 (3) 커밋 메시지 특정 프로젝트 디렉토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한 눈에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밋의 이런 정보들이 아주 중요하다. 그런데 (1), (2)는 커밋을 할 때 Git에서 자동으로 기록해주지만, (3) 커밋 메시지는 커밋을 하는 사람이 매번 직접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그 분량이나 스타일이 제각각일 수 있다. 개인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커밋 메시지를 어떻게 작성하든 큰 상관이 없을 수 있지만, 회사에서 여러 명이 참여..
Git 기본 개념과 사용법 1. 레포지토리(repository)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깃으로 버전관리하기 시작하면, 원하는 시점마다 디렉토리안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내용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초창기 모습부터 버전별로 담겨있을 것이다. (SnapShot) git으로 관리하면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에 .git이라는 숨겨진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 여기엔 변경사항들이 들어있다 2.커밋(commit) 프로젝트 진행시에 "이 시점의 모습을 남기고 싶다" 라고 생각될때가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특정 모습을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행위와 그 결과물을 커밋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커밋이 저장되는 곳이 레포지토리이다. Repository 만들기 mkdir book - book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드는..
GitHub란 Git으로 버전관리와 협업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 외에도 Git은 "다른 컴퓨터에 작업물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물을 다른 컴퓨터에 보낸다는 것은 다른 컴퓨터에 작업물의 백업본을 만들어 두는 것과 같다. 내 컴퓨터에서 작업물이 사라지거나 문제가 생겼을때 백업본을 가져와서 복구할 수 있다. 이 외부 컴퓨터는 직접 준비할 수 있지만, 너무 번거롭다. 이를 서비스 해주는게 GitHub이다. 말하자면 내 백업본을 관리해주는 사이트이다. 원격 저장소를 대신 제공해주는 서비스 Git vs Github Git은 버전관리를 해주는 프로그램 Github은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를 올려놓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 외부 컴퓨터에 올릴 수 있다면 다른사람과 협업도 수월해진다. 내가 A라는 기능을 개발해서 Github..
Git이란 코드 버전 관리 프로그램 여기서 버전 관리란, 대학 과제 제출시에 발표자료 발표자료(수정) 발표자료(수정1) 발표자료(최종) 발표자료(최종끝) 발표자료(진짜최종) 과 같이 해본 적이 있지 않나? 이전에 있던 파일을 혹시몰라 남겨둔 채로 새로운 작업을 할 때가 많다. 그리고 이 와중에도 무엇이 달라졌는지 변경점을 알고 싶다면 파일을 하나하나 열어봐야 하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는 버전 관리가 필요하다 버전관리란 파일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서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꺼내올 수 있는 방법이다. 버전관리의 장점은 1. 지난 과정을 확인 가능하다는점 (어떤 변경점이 있었는지) 2. 문제가 생기면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Git은 코드 버전 관리 프로그램으로, Git은 매번 작성했던 코드의 모습을 ..